전준자, 고요한 미의 세계 삐에르 브리쎄
한국은 고요한 아침의 나라라고 한다. 전준자는 그의 조용하고 고요하고 아늑하고 시적인 그림을 파리의, 수십년 전부터 예술의 정기가 흐르고, 밤낮 카페나 술집, 유명하거나 작은 수많은 갤러리들이 몸을 맞대고 있으며, 세계가 창조되고 파괴되고 재창조되는 동시에, 어제와 오늘과 내일의 그림, 조각 혹은 판화들이 어울려 부딪치고 경쟁하는 상제르맹데프레와 세느강 사이의 중심가에서 처음 선보인다. 하나의 세계, 그러나 완전한 세계! 협소하고 시끄럽고 활동적이고 정열적인 거리의 양쪽에서 가장 고전적이라 알려졌고 인정받고 유명하고 존경 받고 명예로운 예술, 혹은 일요일 관람객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가장 학술적인 예술들이 모여서 경쟁하는 우주, 한쪽에서는 유행을 따르기 때문에 “사기, 거짓, 욕설”이라고 소리치고 고함지르게 하는가 하면, 다른 한쪽에선 아무것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입을 벌리고 감상하게 하는 전위 혹은 탈 전위 예술. 매 철마다 운동, 학파, 주의, 유행들이 창조되고 파괴되는 세계, 유명도에 있어서도 아무것도 완전히 정복되지 않으며, 언제나 일시적인 성공이 내일을 보장할 수도 없고, 타르페이의 바위가 카피톨 옆에 머무르는 세계. 예술을 재발명하고 혁신하고 파리를 정복하려 결심하고 달려온, 모든 인종과 문화의 예술가들의 세계.
모든 것이 가볍고 수월한 것 같은 정확하지 못한 외모에도 불구하고, 확실하고 영구한 실력을 가진 자에게만 시간, 많은 시간이 흘러서야 정말로 주어지는 등대의 도시 파리, 함정의 도시 파리. 바로 여기서 왕왕거리는 벌집의 중앙에서, 전준자는 우리 수도에서의 일 년간의 노력과 거의 수련에 가까운 생활 끝에 전시회를 하기로 선택했다. 먼 그의 나라에서는 국립부산대의 강사이고 교수이며, 젊은데도 불구하고 명예와 학위들을 축적했지만, 그는 데뷰탕의 약간 약해보이는 겸손함과 수줍음을 가지고 있다. 한국에서 가져왔거나 대부분 파리 도착이후에 그려진 다양한 크기의 데상과 수채화, 종이나 캔버스를 사용한 유화들이 여기저기 쌓여있는 파리 대학촌 브라질관의 (한국관이 아직 없기에)좁고 불편한 작업실에서 그를 만났다.
놀라운 그림! 놀라운 이유는 전준자가 저질의 사진을 통해서만 알았던 유럽 대가들의 작품을 방문에 방문을 거듭한 박물관에서 보고 그것을 존경하며, 우리의 가장 최근의 예술을 날마다 더 알게 되는데도 불구하고, 아시아나 다른 곳에서 온 수많은 예술가들과는 달리 서양의 조화되지 못한 유혹의 노래에 저항하였고, 우리 화가들의 용감한 상상과 더 큰 표현의 자유만을 수용한 듯 하기 때문이다. 한국에서는 전혀 볼 수 없었던 루오의 작품에 대한 정열에도 불구하고, 그의 작품에서는 루오의 조그마한 영향도 찾을 수 없다. 파리 시립현대미술관에서 발견한 루오의 작품은 “진실한 정신성”으로 그에게 깊이 와 닿았다. 반대로 서적을 통해 아주 좋아했던 샤갈의 작품은 실제로 보았을 때 너무나 친근하고 귀여운 시가 됨으로써 약간 실망을 주었다. 이제 예술의 경지에 다다른 이 여인은 마릉이 도와 수 천 년의 문화에 젖고 그것이 몸에 배어 있는 덕분에 자신을 지킬 수 있었다. 우리의 문화가 그의 문화에 이식된다면 정신도 없고 영혼도 없는 만능의 예술, 혼합적 국제적이며 뿌리 없는 혼혈의 예술을 탄생시킬 위험이 있는 것이다. 우리의 눈앞에 펼쳐지는 그의 그림 속에서 때로는 아주 가벼운 서양의 영향요소를 발견할 수 있지만, 우리와 같이 신비를 사랑하는 합리주의자들에게는 감동적이고 이해하기 힘든 부처 자비의 반영이라 할 수 있는 비현실에 가까운 조용한 분위기, 평화스러운 부드러움, 극적인 세련됨과 조화된 희미함을 언제나 구성과 데상과 색상에서 발견할 수 있다. 여기에는 모네의 수련을 연상시키는 밤의 푸른색이 낮의 마지막 채색된 빛을 없애려 하고 있는 듯 한 커다란 황혼의 “풍경”앞에서 매력 있게 약하고 일시적인 지울 수 없는 영상과 같기 때문에 공상 속에서 나타난 것 같은 회색 푸른색 단색화의 85-86년도의 “여인들”앞에서, 혹은 소중한 단순함속에서 자연과 미에 경의를 표하는 듯 한 꽃의 “정물”앞에서... 여기에 있는 간신히 땅을 딛고 있는 듯 하기에 단어가 필요 없는 전준자의 작품 앞에서 우리는 단순히 감상하고 생각하고 상상해야 한다. 그리고 침묵을 지켜야 한다.
Jun Joon-Ja, Art of Silent Beauty Pierre Brisset
They say Korea is the land of morning calm. The calm, silent, serene, evanescent and poetic painting of Jun Joon-ja shows us her work for the first time in Paris, between Saint-German-des-Pres and the banks of the Seine river, at the heart of the quearters where ever since many decades the sprit breathes, where day and night, in every café and in lesser bistros like in innumerable galleries of more prestigious and modest standing, the world is made, unmade and remade, where paintings, sculptures and prints of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come together, confronting and contesting one another. This is world, a real world, a universe where on both sides of narrow, noisy, rusting, passional and pattionate alleys one finds art that is more classic, known, recognized, consecrated, respected, honored or far more academic which would fret the desire of Sunday amateurs. Art said to be of avant-garde or trans-avant-grade, while claiming to be of the trend, creates the howling cries of “imposture, swindle, sacrilege” pitted against those pieces and at the same time enraptures others, who do not know anything, with admiration that is almost sanctimonious. This is the world where each season movements, schools and group are made and unmade and reputations too. This is the world where no reputation is ever definitely acquired or where the success, always fragile, cannot be assured of tomorrow. This is where the Tarpeian Rock remains close to Capitol. Nevertheless, this is the worlds where artists of all races and all civilizations flock from all the points of the planet, well determined, in the main, to re-invent and revolutionize the art and to conquer Paris.
Paris, a city of a lighthouse and a snare, despite of its deceiving appearance of fleetness and facility, only consents to reveal herself, after a lapse of time, much longer time, to those unique people who merit by their undeniable and durable talent. This is the very place, at an open center of the buzzing bees, where Jun Joon-ja, following a year of a laborious and almost ascetic stay in our capital, has chosen to exhibit her painting with somewhat febrile modesty and timidity as a debutante, through, in her faraway country, as lecturer and professor of the Art School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she had accumulated, in spite of her youngness, titles, degrees and renown.It was at the Brazil House of the City University of Paris where she lives-because she was not able to live in a Korea House yet to be built-that we have met her in her uncomfortable and small atelier where in every corner and nook piled up were the dessins, water colors or oils done on canvas or paper in every size either brought from Korea or, in the most part in a great number, created ever since her arrival in France.
The painting was amazing. Amazing and surprising because despite of her admiration for the greater masters of Europe exhibited in our museums, without those visits and revisits and revisits, of whom she knew until then only by way of wicked reproductions and though she has been well familiarized each day further with our art of more recent days, Jun Joon-ja knew, unlike many foreign artists from Asia or from elsewhere, how to resist the discordant chant, which come quite often from Occidental sirens, so as to retain, perhaps, from our painting, only certain audacity of imagination, far greater liberty of expression. That was all. Even despite of her fascination with Rouault which she has never seen in Korea, we would find a small influence in her works. She had received a revelation of his work at the Paris Municipal Museum of Modern Art, a workwhich is profoundly marked by his character of authentic spirituality. Contrarily, as to Chagall to whom she was much attracted before in the reading of his books but when seen in reality, she was a little disappointed with a poesy which became too amiable and jolly to her eyes.No, by the grace of heaven this young lady has arrived today at the plenitude in her art and has been able, against and despite of all, to retain herself, impregnated with and bathing in millennial culture on which our proper culture cannot be transplanted without risking a birth of an art that is hybrid, cosmopolitan, deracinated, bastard, a passé partout art with no spirit or soul. Among all those canvases which unfold before our eyes, we may sometimes detect some very light trace of occidental influence and always in the composition, dessin and colors there is the climate of calm, that peaceable sweetness, the extreme refinement and the harmonious softness close to unreality which, for us who are rationalists captivated by winders, can be merely moving and incomprehensible as a reflection of the wisdom of Buddha.Here, in front of the large landscapes of twilight where the blue of the night, like certain water lilies of Monet, seems willing of efface the last glimmers colored of the day; in front of the women of the years of 85/86 which, like fantastic apparitions, become imponderable visions deliciously fragile and ephemeral, in their monocolor of gray, blue and vermilion; or, in front of those still life of flowers which, in their precious simplicity, offer a discrete homage to nature and to beauty here, in front of those works of Jun Joon-ja who dispenses with word in such a manner as she seems hardly to touch the earth, we have to only admire, meditate, and muse. And, we have to keep silence.